농산물 5만t, 평시의 2.6배…성수품 할인지원에 900억 투입
성수품 공급 늘리고 외식할인 재개…추석 물가관리 총력 (CG)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기자 = 정부가 추석 성수품을 역대 최대 규모인 17만2천t 공급한다.
최대 900억원을 투입해 과일·한우 등 선물 세트를 최대 50% 할인한다. 전국에 2천700여개소 직거래장터를 개설한다.
정부는 1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러한 내용의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발표했다.
◇ 공급 확대…농산물 5만t, 축산물 10만8천t, 수산물 1만4천t
우선 농·축·수산물의 가격·수급 안정을 위해 공급을 확대한다.
공급 물량은 농산물 5만t, 축산물 10만8천t, 수산물 1만4천t 등 17만2천t으로, 평시의 1.6배 규모다.
특히 농산물 공급분은 평시의 2.6배에 달한다. 비축물량 및 계약재배 등 정부 가용물량 1만9천t을 방출하고, 농협 계약출하 물량을 활용해 사과·배·단감 등 성수품 과일 3만2천t을 도매시장에 집중적으로 출하한다
축산물 명절수요에 대응해 도축·출하를 평시의 1.3배인 10만8천t으로 늘린다. 닭고기·계란 공급도 확대한다.
명태·오징어·갈치·참조기·고등어·마른멸치 등 정부비축 수산물을 시중가 대비 최대 50% 할인해 전통시장ㆍ마트 등 소비지에 직공급한다.
밤·대추 등 명절용 임산물은 추석 2주 전부터 산림조합 물량을 집중 공급한다.

정부, 추석 민생대책(CG)
[연합뉴스TV 제공]
◇ 실속형 선물세트 확대…제수용 소포장팩 신규 판매
할인지원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900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온·오프라인 유통업체별로 매주 1인당 최대 2만원(평시 1만원)까지 주요 성수품을 최대 50% 할인한다. 정부 재정지원으로 20%, 생산자·유통업체 자체 부담으로 20~30%가 각각 할인되는 구조다.
전통시장의 온누리상품권 현장 환급도 늘린다. 환급액을 지난해 167억원에서 올해 370억원으로 크게 확대하고, 참여시장도 농축산물 120→200곳, 수산물 114→200곳으로 각각 늘린다.
이와 함께 과일·축산물·전통주·홍삼 등 국산 농식품 94개 선물세트를 농협 등에서 최대 50% 수준으로 할인 공급한다.
실속형 소비를 위한 중소형 사과·배 선물세트 물량을 작년 10만개에서 올해 15만개로 늘리고, 제수용 소포장팩(3입) 10만세트를 신규 판매한다.
수협, 온라인 플랫폼 등과 협력해 수산물 민생선물세트 1만개를 구성하고 최대 46% 할인 판매한다.
그밖에 관계부처 합동 물가안정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수급 동향을 매일 점검하고 필요시 즉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원활한 물류·통관을 위해 명절 전후(9월26일~10월10일) 성수품 운반 화물차의 주요 도심권 통행도 일시 허용한다.
◇ 국민안전 관리체계…산재예방에도 주력
정부는 국민안전을 위한 상황관리체계도 구축한다.
산재예방 안전시설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장기 저리 융자금의 지원 한도를 10억원에서 15억원으로 상향 조정한다. 전담 관리사업장에 대한 집중 점검기간도 운영한다.
413개 응급의료기관의 24시간 진료체계를 유지하고, 중증환자 이송·전원을 위한 광역상황실을 운영한다. 연휴기간 문 여는 병·의원 및 약국 정보제공 등으로 공백 없는 의료체계도 갖춘다.
추석 전후 4주간을 택배 특별관리기간으로 지정해 원활한 배송 및 종사자 과로방지를 위한 집중관리에 나선다.
전통시장, 대형마트, 역·터미널 등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화재안전조사 및 불시 단속도 추진한다. 지난 7월 집중호우 피해지역에 대한 복구지원도 이어간다.
이와 관련, 범정부 차원의 '추석 연휴 안전관리대책'이 별도로 발표될 예정이다.
j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