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10년새 농식품 소비층 젊어지고 건강식품 더 많이 찾았다
  • 2020-08-20 09:07
  • 조회수 343

가공식품 구매액 20%↑…코로나19 이후 국산 농산물 인기

신선식품
신선식품

[롯데마트 제공]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지난 10년간 농식품 소비층이 젊어지고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비대면 수요가 늘었고 국산 농산물 인기도 높아졌다.

농촌진흥청은 오는 26일 온라인으로 열리는 '2020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에 앞서 2010∼2019년 전국 1천486가구의 가계부를 분석한 결과를 19일 공개했다.

농식품 구매액지수 변화
농식품 구매액지수 변화

[농촌진흥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 10년간 농식품 구매액 지수는 2010년 100(기준점)에서 2019년 20대가 168, 30대 130, 40대 122, 50대 123, 60대 이상은 108로 증가했다.

증가율이 20대와 30대에서 가파르게 나타나며 젊은 층이 새로운 농식품 구매의 주체로 등장한 것이다.

특히 2030세대는 축산물 구매 비중이 전체의 46%에 달해 4050세대의 36%보다 10%포인트 더 높았다.

20대의 가공식품 구매액은 지난 10년간 76% 급증했다.

농식품을 살 때 주로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안전성, 건강, 영양성분을 꼽았다.

관심 증가 척도를 0(10년 전과 비슷함)∼2(관심이 매우 증가함)로 봤을 때 안전 농식품은 1.21, 건강은 1.10, 영양성분은 1.02로 다른 요소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어 소량 다빈도 구매 0.97, 자연산 농식품 0.96, 다이어트는 0.71 순이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은 연령층이 높을수록 컸고, 60대 이상 소비자는 지난 10년간 블루베리(59%), 견과류(31%), 죽류(31%)의 소비가 많이 늘었다.

소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농식품 특징
소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농식품 특징

[농촌진흥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신선·편이 식품, 미니 농산물, 시판 김치, 가정간편식 등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농식품 구매가 증가한 것도 최근 10년간의 특징이다.

전 세대에 걸쳐 즉석밥, 즉석식품, 냉동식품의 구매가 늘었고, 2030세대는 반찬류 구매액이 37% 증가했다.

편의성을 중시하는 소비 성향에 맞춰 전통시장, 대형마트, 슈퍼마켓 이용은 주는 대신 온라인이나 직거래 구매가 늘었다.

이외에도 참외, 수박 등 과채류는 당도 표기상품, 축산물은 돼지 앞다리 등 기존 비선호 부위의 구매가 증가했다.

가구당 가공식품 구매액은 2015년 월 14만6천원에서 2019년 17만5천원으로 20% 상승했다.

소비자가 많이 찾는 가공 형태는 과일의 경우 음료, 채소는 반찬류, 곡류는 간식류로 나타났다.

과일은 복숭아·사과 주스, 채소는 시판 김치, 깻잎 반찬, 녹즙의 소비가 증가했다. 곡류는 가공밥, 쌀 과자를 많이 찾았다.

신선식품 구매 장소 변화
신선식품 구매 장소 변화

[농촌진흥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코로나19 발생 이후 동네 슈퍼마켓과 온라인 구매는 증가했지만, 대형마트 구매는 감소했다.

가정 내 조리 횟수가 늘어나면서 비교적 손쉽게 조리하거나 구할 수 있는 농식품과 저장 기간이 긴 상품의 수요가 늘었다.

또 코로나19 발생 이후 국산 농산물의 선호도가 높아졌다는 응답률이 34%로 나타나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내산 소비가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2020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는 오는 26일 오후 2시 농촌진흥청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한다.

허태웅 농촌진흥청장은 "생산이 소비로 직결되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 농산물만이 시장에서 살아남는 시대가 됐다"며 "'10년간의 변화를 통해 살펴본 농식품 소비 과거와 미래' 이야기를 통해 농식품 소비 형태를 두루 살피고 그 대응 방안을 깊이 있게 모색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eu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20/08/19 11:20 송고